반응형

해외구매대행 사업을 할 수 있는 플랫폼들 중 저는 먼저 스마트 스토어를 선택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는 네이버와 연결되어 있어 노출이 쉬울 거라 생각했고, 다른 플랫폼 중 수수료가 저렴한 편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중,  반강제적으로 떠밀리듯? '쿠팡'에 판매자로 등록하게 되었습니다. 스마트 스토어 제품 등록하는 과정에서 수동 등록하는 방법으로는 너무 속도가 느리고 더딘 것 같아, 반자동프로그램의 도움을 받기로 하였습니다.  그 반자동프로그램에서 대부분 먼저 쿠팡 판매자로 등록하는 것이 필수사항이었습니다.  그래서 급기야 쿠팡 판매자까지 되어버렸네요.  ^^ 아직은 쿠팡 상품 등록이 눈에 잘 익지도 않고 어리둥절한 상태이지만, 조금씩 배워가면서 채워가려고 합니다. 

오늘은 '소싱 Saucing 정보 입력하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소싱 Saucing이란? 판매할 제품을 확보하는 것, 즉 저 같은 해외구매대행 사업자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해외사이트에서 제품을 찾고 그 제품을 본인의 오픈마켓에 올리는 것이므로, 해외사이트에서 적당한 제품을 찾아내는 일을 소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저기 여러군데서 소싱을 하다 보면 그 제품이 어디있는지 찾기 어려운 난감한 상황이 벌어지겠죠. 물론 자동이나 반자동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으면 자동으로 등록되어 바로바로 찾아질 수 있지만 혹시나 프로그램을 바꾸거나 스스로 등록하는 상황이 될 때를 대비하여 소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경험 많은 분들이나 고수이신 분들은 더 편리한 방법을 찾아내셨겠지만, 저처럼 혼자서 공부해 가면서 하는 경우에는 제 수준에 맞는 방법을 스스로 고안해야 합니다. 스스로 찾아내야 한다는 그 과정이 물론 힘들기도 하지만 보람도 더 큰 것 같습니다. 여하튼 제 수준에서 좀 더 편하게 기록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좀 어려운 점은 반자동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어 따로 기록한다는 것이 조금 부딪치는 면이 있습니다.  그래도 한 번 찾아봅니다. 

제가 말하는 소싱 정보는 간략하게  '소싱 사이트 약자'와 '상품번호'를 적어두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알리익스프레스에 제품번호 200000이라면 "ax200000"이라고 적어두는 것입니다. 각자 편리한 방법으로 적으면 되는 것 같습니다. (제품번호는 '사이트/item/번호'에 적혀 있는 것 같습니다. )

제가 현재 사용해 보고 있는 '윈들리'는 스마트스토어와 쿠팡, 그 외 오픈마켓에 한꺼번에 등록됩니다. 저는 그중에 우선 스마트 스토어와 쿠팡에만 등록하고 있습니다. 그 두 마켓에 소싱 정보를 넣어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보통은 판매자상품코드에 간략하게 소싱 정보를 넣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자동 혹은 반자동 프로그램은 판매자 상품코드가 자동으로 부여되므로(빨간색 부분), 임의적으로 정보를 기입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자동 등록하고 나서 따로 제품 정보에 넣어야 했습니다. 좀 번거로웠죠.  

여러 번 해보고 수정해 보고 그러면서  이제까지 해 본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윈들리 프로그램 사용하시는 분들은 '제품 속성'으로 들어가 '모델명'에 기입해 주시면 됩니다. ('브랜드명'에 기입하면 안 됩니다) 단 그 프로그램을 계속 사용하실 분이라면 굳이 이렇게 기입해 주실 필요 없지만, 나중에 다른 프로그램 사용하시거나 프로그램 없이 수동으로 바꿀 의향이 있으시다면 이렇게 기입해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자동 등록 후 확인해 보니 모델명에 소싱 정보가 기입되어 있습니다. 성공입니다.!

 

앞으로도 조금씩 공부해 가면서, 좋은 팁 발견하면 공유해 보겠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