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턱관절 진료 개념을 DR. Gelb 의 개념으로 연구한 과장님의 눈문을 요약 정리해 보겠습니다.
Dr. Gelb가 턱관절 장애를 접근하는 관점은 교합적 인자를 주요원인으로
턱관절 장애를 접근하는 Dr. Gelb 관점
주요원인: 교합적 인자
중요인자: 구강악계 조직과 관련된 두경부의 근골격계 안정성
확대증상: 두경부, 귀, 눈, 목부위에 대한 다양한 증상 야기
비정상적 머리 위치와 자세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음
TM joint 구조의 특징
관절원판: 조직특성-치밀한 섬유조직 (cf-신체의 다른 연골판 조직인 유리연골임)
두가지 부위, 두가지 운동: 악관절 상 , 하 부분으로 나뉨
악관절 상부-rotation
악관절 하부-translation
좌우양측 쌍을 이루는 복합관절: 좌우양측으로 두개의 joint가 gliding
한쪽 문제 생기면 다른 쪽에도 문제 일으킴
TMJ disc 특징
관절원판: 조직특성-치밀한 섬유조직 (cf-신체의 다른 연골판 조직인 유리연골임)
근육부착: lateral pterygoid muscle
retrodiscal pad; 혈관 풍부 신경지배 많음
loose connective tissue 부착
후방의 petrotympanic fissure 통하여 tympanic plate에 부착
압박시 동통
TMJ 신경 특징
1. 신체 중 가장 많은 감각 수용기가 분포됨
2. 삼차신경 감각수용정보-신경절 거치지 않고 중뇌로핵에 직접 입력됨
마무리
이번에는 Dr.Gelb의 개념으로 연구한 턱관절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존 턱관절의 개념보다 더 광법위하고 근원적인 접근하는 점이 인상적이며 새롭다고 느껴집니다. 특히 꽤 오래된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턱관절 개념보다 더 근본적인 접근이라는 점이 놀랍습니다. 턱관절을 포함한 두경부로 확대하여 그 원인과 증상을 살펴보고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추가 정리해 나가겠습니다.
'자연과학-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부 레진 충전 다듬을 때 어떤 순서로?-10가지 step (0) | 2025.02.11 |
---|---|
inciso-facial line angle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그리고 왜? (0) | 2025.02.10 |
splint 장착 후에도 개선 없을 때(중이염 관련 사례)와 deep bite 과개교합일 때 턱관절 치료 (0) | 2023.02.15 |
사례로 공부하는 턱관절 장애(Midline shift, 삼출성 중이염)와 치료 (0) | 2023.02.14 |
턱관절에 대한 공부(턱관절장애, 턱관절진료)-서막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