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는 2022년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자입니다. 나의 정오를 확 깨우는 카톡 메시지 하나가 도착했습니다. 부가가치세라는 말만 들어도 어지럽고 멀미가 날 것 같네요. 세금이나 숫자만 보면 울렁증이 있는지라, 갑자기 앞이 캄캄해졌습니다. 괜히 이 일을 시작한 게 아닌가라는 후회까지 듭니다. 별 생각을 다하다가 정신을 차렸습니다. 그래, 이것도 처음이라 그렇지, 한번 해보지 뭐. 블로그로 기록하면서 천천히 해보기로 했습니다.
1. 세무사 상담전화 '매출액 작으면 신고안해도 되나요?'
제일 위에 적혀 있는 '연매출액이 4천 8백만원인 간이과세자는 납부의무가 면제됩니다'만 눈에 들어옵니다. '납부의무가 면제된다면 신고 안 해도 된다는 건가?' 하는 반가운 마음이 듭니다. 매출이 적으니까 신고 안 해도 되나 보네, 하는 희망이 스멀스멀~
혹시나 몰라서 아래에 있는 '세무사 상담전화'가 보여 확인하려고 전화했습니다.
답변은 '매출이 없어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안해도 된다는 희망은 물거품처럼 사라져 버렸네요. 그럼 본격적으로 신고하는 방법을 공부해야겠습니다.
구매대행 신고와 일반 쇼핑몰(도소매업)과 차이점은?
구매대행은 이름에서 설명되듯이 판매로 보기보다는 대행업의 성격입니다. 그러므로 구매대행업은 일반적인 쇼핑몰과 달리 판매금액이 아닌 판매수수료에 대해 매출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구매대행과 일반 쇼핑몰 모두 판매금액 만원에 순이익(=판매수수료) 이천원이라고 하면 구매대행은 판매수수료 2천 원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고, 일반쇼핑몰은 판매금액 만원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구매대행업은 언제 세금신고를 해야 할까요?
1. 일반관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2회(1월,7월), 종합소득세 신고 1회
2.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1회(1월), 종합소득세 1회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는?
1. 기준: 연 매출액 8000만원-미만이면 간이과세자, 이상이면 일반과세자
2. 부가가치세율: 간이과세자는 1.4~4%, 일반과세자 10%
간이과세자가 누리는 혜택은?
1. 부가가치세율이 낮음
2. 연매출 4800만원 이하이면 부가가치세 면제되고, 세금계산서 발금 의무 없음
3. 신고횟수가 적음: 1년에 1회
일반과세자가 유리한 경우는?
1. 매출보다 매입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2. 부가가치세 환급을 염두에 둔 경우
간이과세와 일반과세 변경은?
한 번 변경한 다음 3년 동안 재변경이 불가함(연매출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결정할 것)
마무리
해외구매대행 세금신고에 대한 통보가 와서 해외구매대행 신고의 의무, 구매대행 과세의 개념, 신고기간, 간이과세와 일반과세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외구매대행 세금 신고 1. 기본 개념
구매대행 신고의 의무: 매출이 없어도 신고는 꼭 해야함
구매대행 과세의 개념: 판매금액이 아니라 구매수수료를 매출로 인식하여 세금을 부과함
구매대행 세금 신고의 기간과 횟수: 간이과세-부가가치세 1회(1월), 종합소득세(5월)
일반과세-부가가치세 2회(1월, 7월) 종합소득세(5월)
간이과세와 일반과세 기준과 과세율? 연매출 8000만원 미만-간이과세,1.4~4%
연매출 8000만원 이상이면-일반과세 10%
일반과세가 유리한 경우는? 매입이 매출보다 큰 경우, 부가가치세 환급이 예상되는 경우
'씽씽! 생활 정보 > 해외구매대행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기기영업 폐업 신고 절차와 방법 (0) | 2023.01.06 |
---|---|
해외구매대행 세금신고 2. 소명자료 필요한 이유와 자료 준비 방법 (0) | 2023.01.04 |
해외구매대행 수입금지성분 제품 판매 -해결과정과 방법 (0) | 2022.12.28 |
해외구매대행 고객 통관번호 오류-수입식품 유니패스 사전신고 오류와 판매자 해결방법 (0) | 2022.12.24 |
해외구매대행 유니패스 수입식품 사전신고 (0) | 2022.12.23 |